서예 입문자를 위한 필독! 법첩이란 무엇이며, 어떤 종류와 활용법이 있는지 한눈에 정리한 포스팅. 대표 법첩 추천까지!
🖋️ 서예 입문의 첫걸음, '법첩'이란 무엇일까?
서예를 배우는 많은 분들이 처음 접하게 되는 단어, 바로 **‘법첩(法帖)’**입니다.
하지만 서예를 처음 시작한 분들에게는 낯설 수 있는 이 용어, 오늘은 법첩이란 무엇인지, 어떤 종류가 있는지, 어떻게 활용하는지까지 쉽게 정리해볼게요 😊
1. 법첩이란 무엇인가요?
**법첩(法帖)**이란, '법(法)'은 본받을 법, '첩(帖)'은 글씨를 적은 문서라는 뜻이죠.
즉, 서예를 배우기 위해 모범으로 삼는 글씨책이 바로 법첩이에요.
2. 왜 서예에서는 법첩이 중요할까요?
서예는 단순히 글자를 잘 쓰는 것이 아니라, 정신과 기운, 운필의 흐름까지 담아내는 예술입니다.
이런 예술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훌륭한 스승의 글씨를 그대로 따라 써보는 연습, 즉 **임서(臨書)**가 핵심인데요.
이 임서의 기준이 되는 책이 바로 ‘법첩’입니다.
3. 대표적인 서예 법첩의 종류
법첩은 시대별로, 서체별로 아주 다양한 종류가 있어요.
한문 | 1 | 2 | 3 | 4 | 5 | 6 | 7 | |
전서
|
금문 |
금문(산씨반, 모공정)
|
||||||
대전(大篆) | 석고문 (오창석) |
|||||||
소전(小篆) | 태산 낭아대각석 | 전서천자문 (이양빙) |
천발신첨비 | |||||
예서
|
고예(古隸) | 광개토대왕릉비 | 장천비 | 석문송 | ||||
금예(今隸) | 예기비 | 사신비 | 을영비 | |||||
목간 | 간암집한간 | 마왕퇴백서 | ||||||
해서
|
북위서 | 장맹룡비 | 원진묘비명 | 용문사품 (조상기) |
저수량 | 북위묘지(1-3) | 고정비 | |
당해 | 구성궁예천명 (구양순) |
안근례비 (안진경) |
다보탑비 (안진경) |
|||||
행서
|
집자성교서 (왕희지) |
난정서 (왕희지) |
이소경 (미불) |
쟁좌위고 (안진경) |
동기창 | 송풍각시권 (황정견) |
적벽부 (소식) |
|
행초서 | ||||||||
초서
|
장초 | 公羊傳전 (공양전전) |
急就章전 (급취장전) |
|||||
금초 | 서보 (손과정) |
지황탕첩 (왕헌지) |
||||||
광초 | (회소) | |||||||
한글 | ||||||||
판본체
|
원필 | 훈민정음 | 용비어천가 | |||||
방필 | 석보상절 | |||||||
궁체
|
정자 |
옥원듕회원 권지6
|
||||||
흘림 | 낙성비룡 | 봉서 | 농가월령가 | |||||
고체 | 판각 | 여사서 | ||||||
흘림 | 이진사전 | 이춘풍전 |
4. 법첩 활용법과 공부법
✔️ 임서(臨書): 법첩을 옆에 두고 따라 쓰기
✔️ 배임(背臨): 외운 후 법첩 없이 기억을 바탕으로 쓰기
✔️ 창의적 응용: 익힌 글씨를 나만의 스타일로 재구성
✅ 하루 한 글자라도 꾸준히 연습하며, 붓의 방향과 먹의 농담, 획의 연결을 체득하는 것이 중요해요.
5. 마무리 한마디 😊
서예는 단순한 필력이 아니라, 자신을 닦아가는 수양의 길이기도 합니다.
좋은 법첩을 꾸준히 임서해 나간다면, 어느 순간 글씨 실력도 늘고 나만의 서체와 감성도 생겨날 거예요.
👀 “법첩”은 단지 책이 아니라, 시간을 넘어 옛 선비들과 대화를 나누는 창이기도 하답니다.
'🖌️ 서예 (캘리그라피) > 서예 배우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예대학원3. 대전대학교 대학원 서예학과_대전광역시 동구 (2) | 2024.12.08 |
---|---|
서예대학원2.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동아시아사상 · 문화학과(서예학 · 동양미학전공)_서울시 종로구 (6) | 2024.10.20 |
서예대학원1.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과_서울 성북구 (3) | 2024.10.20 |
[서예 공부 자료] 옥원중회연(옥원듕회연(玉鴛重會宴)) 모음(파일첨부) (0) | 2024.06.05 |
[평생교육] 서예·문인화 교육 강사 과정 3개 학교 비교 (1) | 2024.02.19 |